땅 이야기

지번부여방법

무흔세상 2013. 7. 11. 08:01

지 번 (Parcel Number)


1. 개 요
지번이란 토지의 특정화를 위해 지번설정지역별로 기번하여 필지마다 하나씩 붙이는 번호로서, 토 지의 고정성, 개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관청이 지번설정지역인 법정 리, 동단위로 기번하여 필지 마다 아라비아숫자1,2,3,... 등 순차적으로 연속 하여 부여한 번호를 말한다.
2. 지번부여지역
1) , 동 또는 이에 준하는 지역으로서 지번을 설정하는 단위지역
2) , 동이란 법적 리, 동을 뜻함
3) , 동에 준하는 지역이란 낙도로서, 토지조사사업당시 도서는 별개의 지번설 정지역으로 하였다 가 1975년 지적법 전문개정시 리, 동단위로 지번변경을 완 료함.
4) 토지조사사업당시에는 기번지역, 2차 지적법 개정시 지번지역, 7차지적법 개정시 지번설정지 역, 10지번부여지역으로 함.

지 적 법[제정 1950.12.1 법률 165]

6조 지번의 동, , , 가 또는 이에 준할만한 지역을 지번지역으로 하고, 그 지역마다 기번하여 이를 정한다.

16분할한 토지에 대하여서는 분할전의 지번에 부호를 부쳐서 각 토지의 지번을 정한다.

 

지 적 법[전문개정 1975.12.31 법률 제2801] : 2차 개정

4(지번) 지번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관청이 지번지역별로 기번하여 정한다.

지적법 시행령

[전문개정 1976. 5. 7 대통령령 제8110]

2(지번의 설정) 지번은 북서에서 남동으로 순차적으로 설정한다.

신규등록 및 등록전환의 경우에는 당해 지번지역내의 인접지의 본번에 "-1" 또는 "-2"등으로 표 기 되는 부번을 붙여서 지번을 설정한다. 다만, 부번을 붙이는 것이 부적당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당해 지번지역의 최종 본번의 다음 번호부터 본번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지번을 설정할 수 있다.

분할의 경우에는 분할 후의 필지 중 1필지의 지번은 분할 전의 지번으로 하고, 나머지 필지는 분 할 전의 지번의 본번에 부번을 붙여 설정한다.

 

지 적 법[일부개정 1995.1.5 법률 제4869] : 7차개정

4(지번) 지번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소관청이 지번설정지역별로 기번하여 순차적으 로 정하여야 한다.<개정 1995·1·5>

 

지 적 법[전문개정 2001.1.26 법률 제6389] : 10

4(지번의 부여 등) 지번은 소관청이 지번부여지역별로 순차적으로 부여한다.

 

공간정보의구축및관리등에관한법률 : 현재

66(지번의 부여 등) 지번은 지적소관청이 지번부여지역별로 차례대로 부여한다.

 

 

 

 

 

 

우리나라 토지등록의 지번(번지)부여방식

 

지번이란, 토지등록의 단위구역인 필지에 대한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과 개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리.동의 단위로 필지마다 아라비아숫자로 순차적으로 토지에 붙이는 번호를 지번이라한다.

 

지번의 부여방법에는 진행방향, 부여단뒤, 기번위치에 따라 구분되는데 진행방향에 따른 분류를 알아보면

 

1. 사행식 지번부여

필지의 배열이 불규칙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으로 주로 농촌지역에 이용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사행식으로 지번을 보여할 경우 지번이 일정하지 않고 상하. 좌우로 분산되는 단점이 있다.

 

 

 

2. 기우식 지번부여

기우식 지번부여 방식은 도로를 중심으로 한쪽은 홀수 다른 쪽은 짝수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주로 시가지에서 사용된다.

 

 

 

3. 단지식(블럭식) 지번부여

단지식 지번부여는 여러 필지가 모여 하나의 단지를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단지마다 본번을 부여하고 부번만 다르게 부여하는 방식으로 토지구획정리 또는 경지정리지구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4. 절충식 지번부여

절충식 지번부여 방식은 토지배열이 불규칙한 지역은 사행식을, 토지배열이 규칙적인 곳은 기우식 지번부여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기예규  (0) 2013.07.25
임의단체는 금융기관 거래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2013.07.11
부동산컨설팅  (0) 2013.06.02
판례  (0) 2013.05.07
농지법  (0) 2013.03.15